1. 간기(interphase): 분열 준비
- S phase에서 염색체 복제 (염색체는 풀려있는 상태라서 관찰되지 않음)
- G1과 G2에 단백질 합성, 중심체(2개의 중심립) 복제
2. 전기(prophase): 핵막과 인이 사라지고, 염색체가 응축되고, 방추체 미세소관이 형성되어 염색체에 부착
- 염색체의 응축: 복제된 딸염색체들이 감겨져 작은 몸체를 형성한다.
- 방추사의 미세소관 형성 중심소체가 극으로 이동하고, 염색체 동원체에 있는 방추사부착점(kinetochore)에 방추사(방추극에서 뻗어나온 미세소관)가 결합한다.
3. 중기(metaphase): 세포의 적도에 염색체 배열
방추사는 염색체가 적도에 배열되도록 길이를 조절한다.
4. 후기(anaphase): 염색분체 분리
방추 미세소관이 짧아짐에 따라 딸염색분체가 서로 양극으로 끌려가게 된다. 방추 미세소관 중 염색체에 부착되지 않은 것들은 세포의 양극이 멀어지도록 서로를 밀어낸다.
5. 말기(telophase): 핵막 형성
방추 미세소관이 분해되고, 염색체 주위로 핵막이 형성된다. 염색체는 풀어져 염색사로 돌아가고 인이 나타난다.
6. 세포질분열(cytokinesis)
1) 동물세포: 세포의 적도판(적도면)에 있는 원형질막에 미세섬유가 부착되고, 고리의 수축에 의해 원형질막이 함입된다.
2) 식물세포: 세포벽과 세포막 성분이 만들어지면서 중앙에 세포판이 형성된다.
세포주기의 조절 (0) | 2023.05.06 |
---|---|
진핵세포의 DNA (0) | 2023.05.06 |
진핵세포의 세포주기 (0) | 2023.04.11 |
원핵세포의 세포주기 (0) | 2023.04.11 |
다세포 생물의 세포의 카테고리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