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DNA의 정보 암호화 및 복제, 그리고 돌연변이

[Study] 탐구생활/재밌는 과학이야기

by 내머리백지 2023. 7. 24. 12:49

본문

 

DNA의 구조에 대하여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은 어떻게 알아냈을까? >> 1842년: 네겔리의 염색체 발견 염색체는 카를 빌헬름 폰 네겔리(Carl Wilhelm von Nägeli)(스위스, 1817~1891)에 의해 최초로 논문을 통해 발표되었다(그

greenspace456.tistory.com

 

뉴클레오티드 = 인산염(Phosphate) + 디옥시리보스(Deoxyribose) + 염기(A, T, C, G 중 하나)

 

뉴클레오티드는 염기의 종류에 따라 4가지가 있는데, 이를 통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조합의 경우의 수는 4의 n승이 된다. 이처럼 수많은 조합을 만들 수 있기에 DNA는 유전정보를 담을 수 있다.

 

 

DNA의 복제

DNA는 DNA helicase에 의해 염기쌍의 수소결합이 파괴되어 두 가닥으로 분리된다. 각각 분리된 가닥은 DNA polymerase에 의해 딸가닥이 반보존적 복제되고, 각 가닥에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가 결합하면서 DNA 이중가닥이 된다.

딸가닥이 복제될 때에는 상보적인 염기가 복제된다. 예컨대 모가닥이 A이면 딸가닥으로 T가 자리한다.

 

 

돌연변이

복제하는 동안 DNA 복제효소는 만분의 일로 잘못된 뉴클레오티드를 결합하는 실수를 저지른다. 그럼 DNA 수선효소가 교정작업을 진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으로 인해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 예: 체온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화학적 붕괴, 어떤 화학물질 혹은 태양의 자외선 등으로 인한 DNA 손상

 

1)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 뉴클레오티드 순서의 변화

2) 삽입 돌연변이(Insertion mutation): 염기쌍의 삽입

3) 결실 돌연변이(Deletion mutation): 염기쌍의 결실

4) 역위(Inversion): DNA 조각이 염색체로부터 잘려나와 거꾸로 회전한 뒤 재삽입된 경우

5) 전좌(Translocation): DNA조각이 염색체로부터 잘려나와 다른 부분에 붙여진 경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