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단일형질의 유전

[Study] 탐구생활/재밌는 과학이야기

by 내머리백지 2023. 8. 2. 11:38

본문

개념

1. 유전(Inheritance): 개체의 특성이 유전자에 암호화되어 자손에게 전달되는 과정

2. 유전자: 하나의 형질을 발현하는 정보를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단위

3. 상동염색체: 동일한 유전자리(Locus)에서 동일한 특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염색체

4. 대립형질: 상동염색체의 동일한 유전자리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유전자

5. 동형접합(Homozygous): 상동염색체가 유전자리에 동일한 대립유전자를 가진 경우

6. 이형접합(Heterozygous): 상동염색체가 유전자리에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를 가진 경우

7. 유전자형(genotype): 어떤 개체가 가진 2가지 대립형질의 특정 조합 (예: PP, Pp, pp)

8. 표현형(phenotype): 어떤 개체가 가진 유전자형의 물리적 발현 형태 (예: 자주색, 흰색)

 

완두꽃의 특징

- 완두꽃은 감수분열을 통해 웅성배우자와 자성배우자를 만드는 수술과 자방을 가지고 있으며, 꽃잎이 그 두 기관을 감싸고 있어 다른 완두로부터 날아오는 화분을 막음으로써 자가수정(self-fertilize)을 할 수 있다.

- 어떤 특성에 대해 동형접합(순계, true-breeding)인 경우에 항상 동일한 형질을 생산한다.

 

멘델의 유전법칙_분리의 법칙

상동염색체 위의 2개의 대립형질은 감수분열Ⅰ 후기 중에 분리된다.

 

 

단일형질의 유전

P1 순계 자주색 꽃 X P2 순계 흰색 꽃 → F1세대 모두 자주색 꽃

F1 자주색 꽃 자가수정 F2 75%는 자주색 꽃, 25%는 흰색 꽃

 

=> 해당 식물의 꽃잎의 색깔은 2가지 대립형질에 의해 결정된다.

=> 동형접합 유전자형 PP의 표현형은 자주색, pp의 표현형은 흰색이고, 이형접합 유전자형 Pp의 표현형은 자주색이다.

=> P는 우성이고 p는 열성이다. (우열의 법칙)

 

푸네트 사각형 방법(Punnett Square Method)

1. 어떤 특성에 대한 서로 다른 대립형질을 우성은 대문자, 열성은 소문자로 표시한다.

2. 양친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모든 배우자와 자손을 푸네트 사각형에 적는다.

3. 배우자의 분수를 곱하여 자손의 분수를 계산한다.

4. 서로 다른 종류의 자손의 합으로부터 유전자형의 비율을 확인한다.

5. 우열의 법칙에 의거하여 표현형을 결정한다.

=> PP : Pp : pp = 1 : 2 : 1 의 유전자형 비율에서 자주색 꽃 75%, 흰색 꽃 25%가 발현됨을 알 수 있다.

 

우성형질의 유전자형 추측

어떤 우성형질을 가진 개체(PP 또는 Pp)의 유전자형은 열성 동형접합 개체(pp)와 검정교배하여 추측해볼 수 있다.

- 우성형질 개체가 동형접합(PP)인 경우, 자손은 모두 우성형질(Pp)을 보일 것이다.

- 우성형질 개체가 이형접합(Pp)인 경우, 자손은 우성형질(Pp) 50%, 열성형질(pp) 50%를 보일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