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국 재배 방법

[Study] 탐구생활/아름다운 식물 세계

by 삼각대갈 2021. 1. 9. 12:26

본문

물 관리

 

 잎이 넓어 증산작용이 활발한 수국은 비교적 물을 자주 주어야 한다. 그러나 물이 고여있게 되면 뿌리가 썩게 되므로 화분재배의 경우 물빠짐이 좋은 배지를 사용하거나 선반 위에 화분을 올려두는 것이 좋다.

 

번식방법

 장마철에 삽목을 하면 좋다. 주야간온도는 21-26℃, 습도는 65-85%를 유지해준다. 삽목 직후에는 그늘진 곳(20,000-30,000Lux)에, 활착 초기에는 약광(30,000-40,000Lux)에 두고 어느 정도 뿌리활착이 되면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키운다. 삽목은 주로 경지(묵은 가지)를 이용하여 4-7월에 한다.

 

생리장해 및 병충해

  1. 황화현상: 철분이 부족하면 잎이 노랗게 변하는 황화 현상이 발생한다. pH가 높은 배지에서 주로 발생하며 어린 잎 위주로 발생하게 된다. 예방 및 해결방법은 생육 초기에 철분 킬레이트를 공급하거나 배양토를 pH 6.5 이하로 바꿔주는 것이다.
  2. 여름철 생리장해: 야간온도가 27℃가 넘어가면 꽃원기가 손상되거나 생리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고온에 오랫동안 노출된 수국의 잎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얼룩덜룩해진다. 이러한 생리장해는 차광 및 환기를 통해 회복시킬 수 있다.
  3. 장마철 곰팡이병: 곰팡이병은 습도가 높을 때 발생하기 쉽다. 수국에서 주로 발생하는 곰팡이병으로는 흰가루병과 노균병이 있다. 재식거리를 멀리하고 환기팬을 설치하는 등 통풍을 관리해주는 것이 좋다. 흰가루병은 흰가루병 약(산요루, 트리후민, 뉴파렌, 사프롤, 톱신엠, 아싸, 훼나리 등)을 번갈아가면서 방제하거나 유황훈증을 통해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낙엽이나 죽은 가지에서 병원균이 한 달정도를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낙엽을 수시로 제거하는 등 포장을 깨끗히 관리하여야 한다.
  4. 응애: 월동이 가능한 해충으로 번식력이 강해 초기 진압이 굉장히 중요하다. 5월 하순과 10월에 가장 밀도가 높아진다. 응애는 어린 잎이나 가지를 고사시키며, 4-6월에 가장 많은 피해를 준다. 주로 잎 뒷면에 기생하기 때문에 이를 유의하여 3월이나 11월에 화학방제를 하거나 천적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하는 것이 좋다. 응애 천적에는 민깨알반날개, 긴털이리응애, 응애혹파리 등이 있다.

1. 흰가루병 Erysiphe poeltii   2. 응애 Tetranychus   3. 차응애 tea red spider mite (사진출처-농촌진흥청)

 

수국의 생리작용

 수국은 장일조건(여름)에서 영양생장이 이루어지고 단일조건(겨울)에서 화아분화가 진행된다. 수국의 이러한 생리작용에는 일장 뿐만 아니라 온도도 영향을 주는데, 야간온도가 21℃이상이 되면 화아분화가 지연되고 27℃이상이 되면 생리장해를 입게 된다. 다만 야간온도가 높아도 단일조건에서 화아분화는 진행된다. 하지만 온도가 11℃이하로 떨어지면 단일조건이라도 화아분화가 억제되고 식물은 휴면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화아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야간온도(11-18℃)와 일장조건(8h)을 맞추어 주어야 한다. 예컨대 오후 4시부터 해가 질 때까지 차광을 해주어야 한다. 또한 질소시비를 줄이거나 중단하여 영양생장을 억제한다.

 

화색(꽃받침의 색깔)

 수국의 꽃받침색은 토양내 알루미늄의 함량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꽃받침색을 결정하는 색소와 결합함으로써 화색을 결정한다. 토양내 알루미늄이 100ppm이상으로 많으면 수국은 청색을 띠고, 반대로 15ppm이하로 낮으면 홍색을 띠게 된다. 한편 알루미늄 함량은 토양 pH 및 양분과 연관이 있다. 보통 pH가 높은 토양에는 칼리질 성분이 낮고 인산질과 질산질 성분이 높다. 이런 토양에서 알루미늄은 낮은 활성을 보인다. 반대로 pH가 낮은 토양에는 칼리질 성분이 높고 인산질 성분이 낮다. 이런 토양에서 알루미늄은 높은 활성을 보인다.

 

수국 꽃을 오래 보는 방법

 실내온도를 15-18℃로 유지하고 직사광선보다는 반사광이나 그늘진 곳에 두면 꽃을 오래 볼 수 있다.

 

 

  • 순지르기를 하는 이유: 줄기의 생장 증진
  • 도장지: 맹아(Blind)가 되어 꽃이 피지 않는 줄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